암석의 종류와 특징
암석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 알아봅시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의 껍데기를 지각이라고 합니다. 이 지각은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암석은 만들어지는 원인에 따라 크게 화성암, 퇴적암, 변성암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화성암(火成巖) 지하 깊은 곳에서 암석 성분이 녹아서 된 마그마가 지표로 분출하거나 땅 속에서 서서히 식으면서 다시 굳어져서 된 암석을 말합니다. 열에 의해 녹은 마그마가 다시 굳어져서 암석이 되었다고 해서 화성암(불이 돌을 만들었다는 뜻)이라고 합니다. 화성암에는 현무암, 화강암, 유문암, 반려암 등이 있습니다. 암석의 편광 현미경( 화성암) 현무암 화강암 퇴적암(堆積巖) 빗물이나 강물 및 바람 등에 의해서 돌이 부스러지고 물에 의해서 운반된 다음, 퇴적된 돌 부스러기나 침전물 및 조개와 같은 생물의 유해 등이 쌓여 만들어진 암석을 말합니다. 퇴적암에는 역암, 사암, 이암, 셰일, 석회암 등이 있습니다. 사암 셰일 변성암(變成巖) 이미 만들어진 암석이 열이나 압력 또는 다른 작용을 받아 그 성질이 변화된 암석을 가리킨다. 변성암에는 편암, 편마암, 천매암, 규암 등이 있습니다. 편마암 점판암 천매암 편암 편마암 편암 암석의분류 (1) 화성암 관찰하기 ① 시료를 육안 또는 확대경으로 관찰하여 입자들의 크기를 결정한다. ② 조립질일 경우 구성광물의 종류와 함량을 개략적으로 정한다. ③ 암석전체의 색과 구성광물의 함량을 기준으로 어떤 암석에 속하는지 결정 한다. ( 2) 퇴적암 관찰하기 ① 구성 광물의 입자크기를 확대경과 눈금자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② 구성 입자들의 원마도와 분급도를 관찰한다. ③ 묽은 염산을 떨어뜨려 석회질 성분의 유무를 확인한다. ④ 입자 크기, 광물 조성, 조직 등을 기초로 하여 어떤 암석인지 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