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은 나라 전체를 상징하는 공식적인 국화는 없다. 다만 영국 왕실의 휘장이었던 장미를 일반 민중도 좋아하고 많이 가꾸게 되면서 잉글랜드의 국화로 굳어지고 그것이 다시 대영제국의 국화처럼 여기기 시작한 것이다. 스코틀랜드를 상징하는 엉겅퀴는 사실 가시가 많은 보잘것없는 잡초의 하나이다. 이것이 상징화로 된 연유는 역시 민족존속의 역사와 인연이 깊다. 옛날 덴마크의 바이킹이 침략하여 전투가 벌어졌을 때였다. 몰래 잠입한 바이킹들이 그만 엉겅퀴의 날카로운 가시에 찔려 비명을 지르는 바람에 이것을 들은 스코틀랜드 사람들이 피난하여 위기를 모면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전설로 인해서 엉겅퀴가 국화로 지정되었다. 그외 웨일즈를 대표하는 부추, 아일랜드를 대표하는 토끼풀 등 영국을 상징하는 국화는 여러 종류의 식물로 되어 있다. 일본의 국화는 벚꽃이지만 황실의 문장인 국화(菊花)도 국화로 쓰이고 있다. 미국은 주마다 주를 상징하는 주화(州花, State Flower)가 있는데 아직 합중국 전체를 대표하는 국화는 지정되어 있지 않다. 같은 꽃이 몇 나라의 국화로 지정되어 있는 경우도 많다. 방울꽃은 핀란드와 스웨덴, 에델바이스는 오스트리아와 스위스의 국화이다. 국화는 대체로 해당 나라 안에서 자라는 자생식물인 경우가 많은데 꼭 그런 것만은 아니다. 네덜란드의 경우 세계적으로 잘 알려져 있는 국화가 튤립인데 원래 자생하던 꽃이 아니고 16세기에 유럽으로 들어와 네덜란드 땅에서 널리 재배되면서 국화로 지정되었다. 콜롬비아는 1937년에 대통령 포고로 카틀레야(Cattleya)를 국화로 지정하였다. 독일의 국화는 수레국화(Centaurea cyanus)라는 것인데 황제와 깊은 인연이 있는 꽃이기 때문에 ‘황제의 꽃’이라고 불리다가 시간이 흐르면서 그대로 국화로 지정되었다. 프랑스 국화는 루이 왕조가 문장으로 사용하던 아이리스(흰붓꽃)이다. 북한의 국화는 함박꽃나무로 알려져 있고 중국은 모란이었으나 19
암석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 알아봅시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의 껍데기를 지각이라고 합니다. 이 지각은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암석은 만들어지는 원인에 따라 크게 화성암, 퇴적암, 변성암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화성암(火成巖) 지하 깊은 곳에서 암석 성분이 녹아서 된 마그마가 지표로 분출하거나 땅 속에서 서서히 식으면서 다시 굳어져서 된 암석을 말합니다. 열에 의해 녹은 마그마가 다시 굳어져서 암석이 되었다고 해서 화성암(불이 돌을 만들었다는 뜻)이라고 합니다. 화성암에는 현무암, 화강암, 유문암, 반려암 등이 있습니다. 암석의 편광 현미경( 화성암) 현무암 화강암 퇴적암(堆積巖) 빗물이나 강물 및 바람 등에 의해서 돌이 부스러지고 물에 의해서 운반된 다음, 퇴적된 돌 부스러기나 침전물 및 조개와 같은 생물의 유해 등이 쌓여 만들어진 암석을 말합니다. 퇴적암에는 역암, 사암, 이암, 셰일, 석회암 등이 있습니다. 사암 셰일 변성암(變成巖) 이미 만들어진 암석이 열이나 압력 또는 다른 작용을 받아 그 성질이 변화된 암석을 가리킨다. 변성암에는 편암, 편마암, 천매암, 규암 등이 있습니다. 편마암 점판암 천매암 편암 편마암 편암 암석의분류 (1) 화성암 관찰하기 ① 시료를 육안 또는 확대경으로 관찰하여 입자들의 크기를 결정한다. ② 조립질일 경우 구성광물의 종류와 함량을 개략적으로 정한다. ③ 암석전체의 색과 구성광물의 함량을 기준으로 어떤 암석에 속하는지 결정 한다. ( 2) 퇴적암 관찰하기 ① 구성 광물의 입자크기를 확대경과 눈금자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② 구성 입자들의 원마도와 분급도를 관찰한다. ③ 묽은 염산을 떨어뜨려 석회질 성분의 유무를 확인한다. ④ 입자 크기, 광물 조성, 조직 등을 기초로 하여 어떤 암석인지 판단한다. 가. 쇄설
뿌리가 하는일 뿌리는 식물체를 지탱해 주는 지지작용을 합니다. 뿌리는 땅에 깊숙히 뿌리박혀 식물체가 비바람에 뽑히지 않게 해줍니다. 뿌리는 물과 그 속에 녹은 양분을 흡수하는 흡수작용을 합니다. 물과 그 속에 녹은 양분은 뿌리털을 통해 흡수되어 뿌리의 물관에서 줄기의 물관을 거쳐 잎의 잎맥으로 이동하여 식물체의 구석구석으로 보내집니다. 뿌리는 잎의 엽록체에서 광합성을 통해 만들어진 당분을 녹말의 형태로 저장합니다. 특히 무, 고구마, 당근, 도라지, 더덕, 칡과 같이 주로 뿌리에 양분을 저장하는 식물은 식물의 크기에 비해 뿌리가 크고 굵게 자랍니다. 뿌리에서 흡수된 물이 높은 나무 꼭대기로 올라가기 뿌리에 흡수된 물이 멀리 꼭대기에 있는 잎가지 이동할 수 있는 이유는 뿌리압과 승산작용 그리고 모세관현상, 물응집력 때문입니다. 뿌리압 : 식물의 뿌리는 흡수한 물을 줄기로 밀어 올립니다. 식물의 줄기를 밑동에서 잘라 주면 자른 면에서 물이 스며 나오는데, 이는 뿌리압에 의해 뿌리로부터 물이 상승하기 때문입니다. 증산작용 : 잎의 숨구멍을 통해 빠져 나가는 물을 보충하기 위해서 물이 계속 이동하게 됩니다. 모세관 현상 : 직경이 매우 작은 관을 물 위에 세우면 작은 관 속의 수면은 관 밖의 수면보다 높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과 마찬가지로 물관은 자체는 세포가 기둥처럼 연결된 매우 가느다란 관으로, 식물 내부의 압력보다 외부의 기압이 크므로 식물에서는 이 모세관 현상이 두드러지게 잘 나타납니다. 물의 응집력 : 물관 속의 물기둥은 뿌리에서부터 잎까지 계속 연결되어 있는데, 이 물기둥내에서 물분자끼리 서로 잡아당기는 힘있습니다. 이 힘이 물이 상승하는 데 가장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다. 뿌리의 생김 뿌리는 종류마다 다양한 형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를 크게 나누면 쌍떡잎식물과 외떡잎식물의 뿌리형태로 나누어 집니다. 뿌리는 모양에 따라서 곧은뿌리, 수염뿌리,
댓글